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양이 키울때 한달에 얼마나 들까?

고양이 생각

by 열혈아빠 2023. 6. 21. 23:06

본문

고양이를 키우는 데에는 많은 변수들이 관련되기 때문에 한달에 얼마나 비용이 드는지는 정확히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몇 가지 일반적인 비용 요소를 살펴볼 수 있다.

 

 

 



1. 사료 및 간식: 고양이를 키우는 데에는 적절한 사료와 간식이 필요하다. 사료의 가격은 브랜드,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다르다. 

 

우리집 기준 한달 5만원 가량 들어감.

 - 자유급식 / 간식 거의 없음.

© krista, 출처 Unsplash

 


2. 위생 용품: 화장실 모래, 배변판, 세정제 등 고양이의 위생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용품들이 있다.

그냥 흙퍼다 놓으면 될거라는 무지한 생각을 가지는 사람도 있긴 있을것 같은데..... 안된다.

전용모래가 반드시 필요하고, 그것도 종류가 무척많다. 가격도 천차만별이다.

생각보다 모래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생각하면 되고, 자주 갈아주지 않아 위생적이지 못하다면

빨래통에다가 실례하는 고양이의 모습을 목격하게 될것이다. (경험담)

위생적이지 못하게 관리한다면 고양이는 병에 걸리기 쉽다.

소잃고 외양간 고치기전에 화장실 모래는 정말 자주자주 잘 관리하기를 바란다.

 - 우리집 기준 한달 3만원 고양이 모래 비용 들어감

 - 화장실은 10만원 정도 위로 출입하는 방식이고, 이 화장실도 고양이 크기에 따라 잘 선택을 해야한다.

   불편하거나 마음에 안들면 엉뚱한 곳에다가 실례를 한다.

 

 

 

 


3. 건강 관리: 예방 접종, 벼룩과 진드기 예방 치료, 건강 검진 등을 위해 정기적으로 수의사에게 방문하는게 좋지만 그게참 쉽지는 않다. 
이러한 비용은 고양이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특히 반드시 해야 할것은 중성화 비용은 반드시 생각하는게 좋다.
중성화 비용은 최소 40만원부터 생각하는게 정신건강에 이로울것 같다.

( 그 이상 야릇한 소리는.... 남사스러워서 견딜수가 없다. 특히 아파트 사는 사람일수록 미리미리 준비하자.)

또한 필수적인 예방접종 비용도 미리 근처 동물병원에 확인하는게 좋다.

병원마다 추천하는게 다르지만 보통 3회에 걸쳐 접종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 zhenh2424, 출처 Unsplash

 

 

 

 

 



4. 장난감과 활동 용품: 고양이가 활동적이고 자극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장난감, 캣타워, 스크래치 패드 등을 구매할 수 있다.

 - 고양이 관련한 최소한의 것을 추구하는 우리집에도 스크래치 할 수 있는건 구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왜냐하면 그걸 안해 놓으면 다른 귀중한 것들을 마구 마구 스크래치 낸다... 소파, 가구등등

 - 우리집 기준으로 스크래쳐는 가장 저렴한 타워형으로 했고, 5만원 정도면 구비할 수있다.

 -  그외 장난감 및 활동기구들은 여건에 맞춰 해줘도 좋고, 안해도 뭐 상관없을듯 하다.

 

 

© willianjusten, 출처 Unsplash

 

 


5. 긴급 상황 대비: 응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예기치 않은 동물 의료 비용을 생각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양이가 병이나 사고로 인해 응급치료가 필요한 경우를 대비해 금융적인 여유를 가지는 것이 좋다.
아는 지인은 고양이가 아퍼 병원 수술비로 몇백만원이 들어가기도 했다. 수술후 고양이 호텔까지..... 대단 동생이었다.
사람보다 더 비싼 경우도 많다. 

 

 

 

 

 


다시말하지만 이러한 비용은 지역, 생활 수준, 고양이의 건강 상태와 성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고양이를 키우기 전에는 예산을 계획하고 가능한 비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지역의 동물 병원이나 동물 보호 단체 등을 방문하여 고양이를 키우는 데 필요한 비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해 보는것도 매우 좋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